본문 바로가기
정보클래스

잠복결핵감염 검진

by 찌헤님 2020. 3. 27.

Q. 잠복결핵감염 검진은 어떤 경우에 하나요?

 

A. 잠복결핵감염 검진은 결핵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합니다. 겸염이 확인되면 치료, 예방관리를 통해 이후 결핵으로 발병할 위럼을 줄이고 더불어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시킬 위험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주로 결핵 발병의 위험이 높은 사람들(면역력하자, 결핵 환자의 접촉자 등)과 접촉하거나 면역이 취약한 사람들과 접촉하는 종사자의 경우, 집단 내 결핵 전파 가능성이 큰 경우 등에서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받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결핵 전파 차단과 결핵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의 대상에는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초,중,교), 아동복지시설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결핵예방법 제 11조 동법 시행규칙 제4조)

 

집단적으로 결핵이 발생하여 결핵역학조사를 실시하는 경우, 결핵환자의 접촉자들은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받게 됩니다 ( 결핵예방법 제 10조 및 제 19조)

 

Q. 잠복결핵감염 검진은 매년 받아야 하나요?

 

A. 잠복결핵감염 검진은 매년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의료기관 종사자 중 결핵환자에 노출된 겨ㅏ능성이 높거나 결핵환자를 직접 진료하거나 간호하는 부서의 직원, 결핵균에 노출된 위험이 높은 검사를 시행하는 직원,신생아나 면역저하자 등 결핵 발병 시 중증결핵 위험이 높은 환자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신규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잠복결핵감염 검사가 필요합니다.

 

 

Q. 흉부X선 사진에서 결핵을 앓는 흉터가 있다는데 이것은 무엇인가요?

 

A. 흉부 X선 사진에서 흉터는 있지만 결핵을 칠한 적이 없다면 이는 과거에 폐결핵이 발생했지만 자연 치유된 경우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경우 향후에 결핵 발병의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이 경우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하여 양성이면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하여야 하며,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등 결핵 발병 고위험군이라면 잠복결핵감염 검사와 무관하게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단, 치료 시에는 이와 같은 흉부X선 검사의 소견이 결핵은 아닌지 면밀히 검토한 후 (결핵일 겅우 결핵치료)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실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