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강경수술이 산부인과 수술에 도입된 이래 많은 영역에서 화발히 시행되고 있으며 최소침습수술의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복강경수술이 2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하며, 기구가 대부분 관절이 없는 막대기 형태여서 움직임의 자유도가 낮아 술기 습득이 어렵다. 로봇수술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지금가지 최소침습수술 분야의 가장 발달된 형태이며 현재 로봇수술의 장점을 살려 산부인과 양성 질환의 영역엥서 활발히 시행 되고 있다.
자궁근종절제술
가임기 여성의 가장 흔한 양성 골반 내 종양으로, 유병률이 20% 에서 40%까지 보고된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살마의 숫자가 늘고, 초음파검사를 받는 빈도가 높아져 자궁근조을 조기진단받는 경우가 늘었다. 자궁근종절제술은 근종을 자궁에서 잘 절제해내는 것과 절개 부위를 세심하게 층별로잘 봉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로봇 자궁근종절제술은 절개 부위를 정교하게 봉합할 수 있고, 개복수술과 비교했을 때 출혈이 적어 수혈한 경우도 적었으며 재원기간도 짧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궁근종 위치가 좋지 않아 개복하여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할 수 밖에 없는 여성들에게 로봇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수를 대안으로 시행 할 수 있다.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치료
가임기 여성에서 11%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는 흔한 양성질환으로, 심한 생리통, 성교통, 골반통으로 인해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불임까지 일으킬 수 있다. 로봇을 이용한 자궁내막증 수술은 실혈량, 재원일수, 합병증, 수술 후 통증, 삶의질 향상 정도에서 고식적 복강경수술만큼 효과적이었다. 기존의 2차원 복강경에 비해 로봇수술은 3차원, 고화질의 시야를 통해 자궁내막증 병변을 더 정확하게 구별해낼 수 있다. 특히 방광, 요관, 직장 및 s상결자에 ㅣㅁ습적 병변을 만드는 심부 자궁내막증 환자인 경우,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수술 방법으로 침습적 병변이 발견된 부위의 조직을 절제하고 봉합하는 것이 고식적 복강경수술보다 용이해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친골질고정술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령 여성에게 골반강 내 장기를 지지않는 조직의 손상으로 생시기관, 방광, 직장 및 일부 소화기관 등의 골반 내 내용물들이 질벽의 결손부위로 탈출하는 골반장기탈출증의 유병률이 높아졌다. 천골질고정술은 골반장기탈출증의 일반적인 수술적 치료 방법이다.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하 천골질고정술은 회복이 빠르고 실현양이 적은 복강경수술의 장점을 모두 가지면서 동시에 개복수술의 장점인 봉합의 용이함도 있어 해부학적 구조의 복원에서 복강경수술보다 더 좋은 수술결과를 보여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골반장기탈출증은 일부 젋은 여성에서도 발생하는데, 이 경우 가임 보존을 원할 때는 로봇을 이용한 천궁자궁고정술이 효과적일 수 있다.
로봇수술 고식적 복강경수술에 비해 가지는 장점이 명확하지만 다양한 수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가 로봇수술이 가지는 가장 큰 한계점인 비용 때문일 것이다. 로봇수수리 가지는 분명한 장점에 대한 전바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고, 비용 절감 장비가 갭ㄹ되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비용문제가 해결된다면 선명한 시야 확보돠 자유도의 움직임을 가지는 관절을 이요해 섬세하게 봉합 할 수있고, 손의 떠림을 보정할 수있는 로봇수술의 장점때무네 부인과 영ㅇㄱ에서 로봇수술의 적응증과 유용성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한다.
'정보클래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포를 보는 방법 : 수포성 표피박리증 (1) | 2020.05.15 |
---|---|
귀, 중이염, 수술해야 하는가? (0) | 2020.05.14 |
뇌혈관조영술: 사람의 머리 혈관을 보는 아주 특별한 방법 (0) | 2020.04.27 |
눈영양제, 꼭먹어야 하나요? (0) | 2020.04.20 |
A형 간염 전염경로, 치료, 예방 (0) | 202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