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클래스

우리아이가 벌써 사춘기? 성조숙증

by 찌헤님 2020. 3. 20.

성조숙중은 비만의 증가 등의 원인으로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성조숙중은 동반된 다른 질환에 의해 나타날수 있고 적절히 치료 하지 않으면 최종키가 작아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성조숙중이란?

 

여아에서는 만 8세 이전, 남아에서는 만 9세이전에 이차성장(여아는 유방발육, 남아는 고환 크기증가)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성조숙중 원인은?

 

 뇌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이 증가하여 성조숙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중추성 성조숙중이 라고 하며 중추성 성조숙증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뇌종양, 뇌방사선 치료, 감염, 외상 등이 있다. 또한 난소 고환, 부신 등의 질환으로 인해서도 성조숙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말초성 성조숙증이라 한다. 그러나 가장 흔한 경우는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특발성 중추성 성조숙증으로 남아에서는 50%에서 원인 질환이 발견되나 여아에서는 80~90%가 원인 질환이 발견되지 않는다.

 

성조숙증의 진단

 

 신체검진상 성조숙증이 의심되면 엑스레이로 골연령을 확인한다. 검진과 엑스레이에서 성조숙증이 의심되면 성선 자극호르몬방출 호르몬 자극검사를 시행하며, 자극검사 결과 사춘기 반응을 보이면 진성 성조숙증이라고 진단한다. 성조숙증으로 확인되면 원인을 밝히기 위해 MRI나 골반 초음파를 시행하기도 한다.

 

성조숙증의 치료

 

 성조숙증의 원인 질환이 밝혀진다면 원인의 치료가 우선되어야 하며,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한 경우(특발성 성조숙증)의 경우에는 사춘기 진행을 억제하는 주사를4주 간격으로 맞게 된다. 사춘기가빨리 진행되면 급성장을 하여 또래보다 일시적으로 커보일 수있지만, 골연령이 빨라져 성인키는 작아지게 된다. 성조숙증을 치료함으로써 성인키가 작아지는 것을 막고, 정신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춘기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천천히 진행하는 경우는치료를 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사춘기 징후가 시작되었더라도 보통 6개월 정도 경과를 지켜본 후 치료를 결정한다. 여아는 만 9세 전 (8세 364일)까지, 남아는 만 10세 전(만9세 364일)까지 성조숙증 치료를 시작할 시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제(성호르몬 억제제)는 성조숙증 치료에 사용된 지 30년 정도 되었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고 안전한 약으로 알려져 있다. 주사 맞은 부위가 하루정도 아프거나 부을 수있으며,드물게 무균성 농양이나 드물게 과민반응이 있을 수 있다. 치료 중 일반적인 다른약을 먹거나 예방 접농을 하는 것에는 제한이 없다. 치료 종료 후에는 치료 하지 않은 정상인과 동일한 성호르몬 분비 능력, 자궁 발달, 임신 능력을 보인다.

 

치료 종료 시점은 대게 여아는11세 전후, 남아는12세 전후이지만,개인에 따라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치료 종료 후 6개월 내에 성호르몬이 다시 정상적으로 분비되어 사춘기가 진행하며, 여아에서초점은 평균 6~18개월뒤에 시작한다. 치료 종료 후 초경까지의성장속도는 개인차가 있으며, 치료를종료한 후에도 지속적인 골연령, 성장,사춘기 발달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